반응형 김새벽2 <영화 한여름의 판타지아> 형식의 실험성, 서사보다 감정을 이끄는 얼굴, 공간의 감성화 소개2015년 개봉한 영화 한여름의 판타지아는 관습적인 서사와는 거리가 먼 정적이고 시적인 분위기의 독립영화다. 장률 감독과 장건재 감독의 협업이라는 이색적인 제작 방식부터가 영화의 실험성과 예술성을 암시한다. 이 작품은 한국의 시나리오 작가가 일본 시골 마을을 방문해 영화를 준비하는 과정을 1부 그리고 상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펼쳐지는 2부의 허구적 로맨스를 2부에 배치한 2단 구성으로 관객에게 낯선 영화적 경험을 선사한다. 표면적으로는 한일 문화교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 영화는 단순한 국경을 넘는 교류의 메시지를 넘어서 인물의 내면 풍경, 계절이 가진 시간성, 공간이 지닌 정서적 힘에 대한 예민한 감각을 담고 있다. 그렇기에 한여름의 판타지아는 상업적 블록버스터처럼 흥행 수치를 기.. 2025. 4. 15. <영화 벌새> 은희의 시선을 통해 본 세계, 정교한 시대 재현 , 영화제 수상과 관객 주도의 입소문 소개2019년 개봉한 김보라 감독의 장편 데뷔작 벌새는 한국 독립영화계에 있어 하나의 이정표와도 같은 작품이다. 큰 스케일이나 스타 캐스팅, 화려한 시각적 요소 없이도 이 영화는 단단한 이야기와 정제된 감정으로 수많은 관객의 마음을 움직였고 국내외 유수 영화제에서 60개 이상의 상을 수상하며 작품성과 흥행성을 동시에 인정받았다. 하지만 벌새의 흥행은 단순히 수상 이력이나 평단의 지지에만 의존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 영화는 관객 한 사람 한 사람의 진정한 공감과 감정적 울림을 통해 서서히 그러나 깊게 퍼져나갔다. 특히 10대 여성의 시선을 통해 바라본 1990년대의 한국 사회를 섬세하게 그려냄으로써 단지 특정 세대에 국한되지 않고 모두에게 다가갈 수 있는 보편적인 힘을 획득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벌새가 .. 2025. 4. 9. 이전 1 다음 반응형